SHAFT GROUNDING SYSTEM

개요

  • 선체는 ICCP에 의해 음극 방식이 되어있다
  • 하지만 축은 선체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 따라서 축을 선체와 접지(연결)시키는 장치이다

목적

  • MAIN BEARING의 METAL FLAKE 방지
  • SHAFT 부식 방지

구성

사진 출저 : https://cathodicme.com/propeller-shaft-earthing-systems/

  • CLAMP
  • BRUSH HOLDER
  • BRUSH (SILVER GRAPHITE)
  • ALLOY SLIP RING BAND
  • VOLTMETER+ALARM SYS
  • EARTHING CABLE

원리

사진출저 : https://cathodicme.com/propeller-shaft-earthing-systems/

  • 선체와 SHAFT를 완전히 연결시키면 큰 손실이 일어난다.
  •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BRUSH를 통해서 접지시킨다.
  • 물과 닿아있는 BLADE에서 생기는 양극전류를 선체로 회귀 시킨다.
  • 샤프트가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와전류로 상대적으로 고 전위가된다.
  • 이때 샤프트와 베어링 사이에 스파크가 형성되어 떨어져 나온다 (METAL FLAKE현상)

정비

  • SHAFT와 HULL사이의 VOLTAGE 확인요-UMA CHECKLIST
  • BRUSH 마모상태확인
  • SLIP RING 소제
  • TENSION 확인




1. 냉동사이클

2. PIPE LINE

3. OPERATION

4. TROUBLE SHOOTING


정지-완전펌핑다운 PUMPING DOWN

  1. 응축기 출구 밸브 FULL CLOSE
  2. CUT IN (압축기 기동) LOW PRESS. 0K로 세팅
  3. 응축기 레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때 까지 지켜봄
  4. 게이지 압력이 0K~1K사이임을 확인
  5. 압축기 STOP
  6. 압축기 입출구 밸브 CLOSE
  • 0K 이하로 세팅시 대기압 이하가 되어 AIR (불응축가스가 유입된다)

기동

  1. 응축기 출구 밸브 FULL OPEN
  2. 압축기 출구 밸브 FULL OPEN
  3. 압축기 입구 밸브 CRACK OPEN
  4. 압축기 START
  5. LOW PRESS. SETTING 값 확인! 0K시 필히 변경.
  • 입구측 액냉매 유입 방지를 위해 CRACK OPEN하여 냉매를 교축한다.

교대 운전

  1. 기동중인 냉동기 점검 & 이상시 행한다.
  2. 기동중인 압축기 펌핑다운 - 냉매 LEVEL CHECK
  3. 압축기 정지
  4. 응축기 출구 밸브 FULL OPEN
  5. 교대운전할 압축기 START
  6. 정지한 압축기 입출구 밸브 및 응축기 출구밸브 FULL CLOSE
  • 라인상 냉매누설 되는 곳이 없으면 냉매 LEVEL CHECK를 생략해도 된다.







1. 냉동사이클

2. PIPE LINE

3. OPERATION

4. TROUBLE SHOOTING


REFRIGERATOR UNIT

구성

1. 수액기

: 피스톤 내 수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예방하는 장치
  팽창밸브에서 또한 과열도를 두어 수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2. 압축기

: LOW PRESSURE에서 HIGH PRESSURE로 압축시킨다.

3. 유분리기

: 냉매 내 있는 L.O를 흡수한다.

4. 유분리기 리턴밸브

: 플로트 밸브에 의해 일정 L.O가 모이면 크랭크챔버로 RETURN 된다.

5. 응축기 출구밸브

: PUMPING DOWN시 잠근다
  개도 조절을 하지 않고 FULL OPEN, FULL CLOSE 한다.

6. 드라이어

: 냉매 내 수분 및 먼지등을 필터링 해준다.

경로 - PH선도와 같이 확인!

  1. 냉동고에서 수액기를 거쳐 압축기입구로 들어온다. <LP>
  2. 압축기에서 냉매가 압축되어 유분리기를 거쳐 응축기로 들어간다. <HP>
  3. 응축기를 지나 드라이어를 거쳐서 냉동고 쪽으로 향한다.
  • 유분리기 리턴밸브를 잠그고 운전시 유분리기 내 L.O가 계속 쌓여 냉매와 같이 이동한다.
  • 유분리기 리턴밸브를 열고 L.O보충시 크랭크 챔버내 L.O가 유분리기로 들어간다.
  • 냉매가 순환되지 않을시 드라이어도 꼭 확인한다.

냉동고


1. 솔레노이드 밸브

: 냉동고의 온도에 따라 ON/OFF제어가 되어 냉매를 차단 OR 통과시킴

2. 팽창 밸브

: 압력을 내려(교축) 포화온도를 내린다.

3. 증발기 & 팬

: 냉매가 잠열을 흡수하며 냉동고를 차갑게 한다.

4. 감온통

: 증발기 출구에서 온도를 팽창밸브로 전달하여 개도를 조절시킨다.

5. 배압 조절 밸브

: 육고, 어고 외 야채고에 설치되며 배압을 조절시켜 냉동기가 자주 운전되지 않도록 한다.

6. 전기 히터

: 제상을 위해 사용한다.


경로 - PH선도와 같이 확인!

  1. 드라이어에서 나온 냉매가 솔레노이드 밸브의 ON/OFF에 따라 통과/정지된다.
  2. 만약 설정온도보다 현재 냉동고 온도가 높은 경우 솔레노이브 밸브가 열린다.
  3. 감온통에 의해 팽찰밸브의 개도가 조절되고 교축 되어 증발기로 들어간다.
  4.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한 냉매는 배압조절 밸브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돌아간다.
  • 팽창밸브 스프링 조절은 초기세팅시에만 한다!
  • 제상은 한달마다 살수로도 시행한다.


L.O LINE

구성

1. 크랭크챔버

: 압축기 내 크랭크 챔버에 기름이 모여있고 흡입 파이프가 잠겨있다.

2. FILTER

: L.O LINE으로 흡입 전 필터링을 한다.

3. L.O PUMP

: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어 자동으로 기동 된다.

4. SHAFT & BEARING

: L.O는 샤프트를 통과하여 베어링에 비산 시켜 윤활한다.

5. 무부하 장치

: 압축기 초기 기동시 큰 부하 & 베어링에 L.O가 비산되지 않아 처음에 는 무부하로 운전한다.









1. 냉동사이클

2. PIPE LINE

3. OPERATION

4. TROUBLE SHOOTING


개요

  • 냉동기의 원리 및 트러블슈팅을 위해서는 PH선도 및 몰리에르 선도 이해가 선행 되어야 한다.
  • 선박에는 HCF 계열의 R134a R404a , HCFC 계열의 R22 등이 쓰인다.
  • R22의 경우에는 오존층 파괴 물질 기록부를 작성하여야 한다.

몰리에르 선도


구역

  • 과냉각 구역 : 액체 상태
  • 과열구역 : 기체 상태
  • 습증기구역 : 액체 + 기체

  • 등온선 : 그래프 내 온도가 같은 점을 이은 선
  • 포화액선 : 액체로 상 변화가 일어나는 선
  • 포화증기선 : 기체로 상 변화가 일어나는 선

냉동사이클

냉동기를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냉동사이클을 그린다.

그 이후에는 사이클을 따라가며 이해한다.

압축

  • 그래프를 보면 오른쪽위( 고온&고압 기체 ) 의 상태로 변한다.

  • 압축시 압력이 상승하여 포화온도가 상승한다.

  • 포화온도가 상승하면 기체에서 액체로 상 변화가 쉬워진다.


응축

  • 응축시 압력은 일정하고 잠열을 뺏겨 온도 또한 일정하다 (과냉 전까지)
  • 여기서 뺏긴 잠열은 증발기에서 다시 되찾으며 열을 흡수한다.


팽창

  • 교축작용을 통해 압력을 낮춘다.

  • 기체상태가 된다.

  • 압력이 낮아져 포화온도 또한 낮아진다.

  • 증발기 출구온도를 기준으로 과열도를 세팅한다.


증발

  • 낮아진 포화온도 만큼의 열을 흡수하여 액체가 되기 전까지 잠열을 흡수한다.

  • 과열도 만큼 더 열을 받아 확실하게 포화증기선 밖 과열구역으로 내보낸다.

  • 압축기 내 액체가 들어가게되면 피스톤 및 콘로드의 파손이 일어나기 때문에 과열도를 둔다.


냉매 PH선도


압력

  • 압축기의 (HP, LP) PRESSURE GAUGE 에 + 1Bar(대기압)

온도

  • 팽창밸브 IN 온도
  • 압축기 IN 온도 
  • 증발관 냉매 온도 : 냉동고 온도 - 약 7도

그리기

예)
  • 냉매 R134a
  • HP 17+1 = 18bar
  • LP 1.8+1 = 2.8bar
  • 증발관 냉매 온도 :  냉동고 온도 5도 - 7도 = -2도
  • 압축기 IN 온도 : 8도

  1. 먼저 압축기의 LP(2.8bar)와 압축기 IN온도(8도)의 교점을 찾는다.
  2. 그후 파란색(등엔트로피)선과 평행하고 HP(18bar)와 만나는 지점을 찾는다. (압축라인완성)
  3. 압축기의 LP(2.8bar)와 증발관 냉매온도(-2도)의 교점을 찾는다.
  4. 압축기시작점과 연결한다. (증발라인완성)
  5. 증발 시작점의 수직선과 압축끝점의 수평선의 교점을 찾아 연결한다. (팽창&응축라인완성!)






청정기 내 유로 

: 저압수 고압수 봉수 기름 슬러지

    1. OPERATING WATER IN - BOWL CLOSE

    2. SEALING (REPLACEMENT) WATER IN

    3. DIRTY OIL IN

    4. CLEAN OIL OUT

    5. OPERATING WATER IN - BOWL OPEN

    6. SLUDGE OUT


OPERATING WATER IN - BOWL CLOSE


DIAGRAM


LOCAL

BOWL을 들어올려 DISCHARGE PORT를 막는다.





SEALING (REPLACE.) WATER IN

DIAGRAM

LOCAL



  • BOWL이 CLOSE 상태이고 원심력을 받아 청정기 BOWL 바깥쪽에 모인다.

DIRTY OIL IN


DIAGRAM

LOCAL

  • BOWL CLOSE & SEALING WATER 이후 기름이 들어온다.

  • 이때부터 청정기 내에서 3상분리가 이루어진다. (물 - 기름 - 고형물)

  • 배출시에는 2상(CLARIFY) 또는 3상(PURIFY)으로 나뉜다.


AUTO FILTER란?

  • 펌프의 출구측에 설치되어있다.
  • 기기로 들어가기전에 유체 내 찌꺼기를 여과시켜준다
  • 찌꺼기는 자동으로 F.O DRAIN TANK, L.O SUMP TANK로 들어간다.

원리

기본 필터링 원리

  • 입구측에서 안좋은 기름이 필터의 캔들벽면에 달라 붙어 깨끗한 기름만 이송된다.
  • 중앙에 있는 자석에 메쉬필터 조각이 보이면 캔들을 즉시 신환한다.

구성

OIL

  • CHAMBER : 기름이 들어와서 모여 여과되는 곳
  • CANDLE : 찌꺼기가 붙어있는 곳, 주로 소제하는 것
  • FLOAT SWITCH : FLUSHING 후 OIL을 REFILL할때 열어 압력을 빼준다.
  • CHANGE COCK : MOTOR에 의해 OIL라인을 바꿔준다.
  • PRESSURE DIFFERENTIAL GAUGE : 차압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며 높으면 자동으로 FLUSHING된다.

ELECTRIC

  • MOTOR : OIL라인을 바꿔준다
  • CAM & LIMIT SWITCH : CHANGE COCK을 정위치로 조절해준다.
  • TIMER : 타이머의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FLUSHING 실시한다.

AIR

  • PRESSURE REGULATING VALVE : FLUSHING 측으로 들어가는 AIR를 감압시켜 CANDLE을 보호한다.
  • AIR RECEIVER : 3K AIR를 저장한다.
  • DRAIN VALVE CYLINDER : 7K로 CYLINDER를 작동하여 VALVE를 OPEN / CLOSE 한다.
  • CONTROL AIR VALVE : 정비시 AIR LINE 차단하기 위함
  • SAFETY VALVE : 7K AIR가 CYLINDER를 통과하여 밸브가 작동하여 3K 에어리시버 공기가 캔들로 간다.

AUTO FILTER LINE (AIR)



FILTERING - AIR

  • 7K CONTROL AIR가 들어와 DRAIN VALVE CYLINDER를 오른쪽으로 밀어 잠근다.

FLUSHING - AIR

  • TIMER 또는 DIFFERENTIAL PRESSURE GAUGE의 압력이 높아져 SOLENOID VALVE가 작동한다.
  • DRAIN VALVE CYLINDER를 왼쪽으로 밀어 드레인라인업을 먼저 한다.
  • 그 후 PNEUMATIC VALVE로가서 AIR RECEIVER출구 VALVE를 연다.
  • CANDLE 내 AIR가 들어가 겉 표면에 있던 슬러지를 FLUSHING 하여 배출한다.















비상발전기가 운전되는 경우

1. LOCAL START - MANUAL

: 비상발전기실에서 START

  • BATTERY
  • 수동으로 SPRING CHARGE


2. ESBD BUS TIE TRIP - AUTO

: 메인 발전기에서 ESBD로 들어오는 ACB OPEN or TRIP

  •  주 발전기의 정지
  •  주 배전반 BUS TIE ACB TRIP
  •  비상 배전반 BUS TIE ACB TRIP
  •  RTS - Remote Test Swtich 동작




RTS : REMOTE TEST SWITCH

 1. ENGINE

  -ESBD ACB OPEN
  -D/G와 ESBD OPEN 
  -ESBD POWER DOWN (비상등 꺼짐)
  -비상발전기가 AUTO START 
  -비상발전기 ACB OPEN
  -ESBD 전원 복구X

 2. NORMAL

  -ESBD ACB CLOSE

 3. ENGINE & ACB 

  -ESBD ACB OPEN
  -D/G와 ESBD OPEN 
  -ESBD POWER DOWN (비상등 꺼짐)
  -비상발전기가 AUTO START
  -비상발전기 ACB CLOSE
  -ESBD 전원 복구O

 

RTS의 목적

  • D/G및 MSBD를 건들지 않고 실시 가능하다.
  • 비상발전기 RTS기동은 6개월에 한번 시행해야하며 SOLAS규정상 45초 내 ACB CLOSE 되야한다.
  • PSC수검시 RTS SELECT SWITCH 를 ENGINE&ACB 로 두고 45초 내 ESBD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검사한다.



※비상발전기 ACB와 ESBD ACB는 INTERLOCK이 되어있어 동시에 CLOSE 될 수 없다.



2019/01/18 - [VESSEL/SOLAS FOR ENGIEER] - VESSEL SOLAS-EMERGENCY GENRATOR / 솔라스-비상발전기 FOR 선박 기관사




DPT Differential Pressure Transmitter(Transformer)

차압전송기(변환기)

  • 보일러에서 제일 중요한 것을 꼽아보자면 BURNER, SEQUENCE, DPT 라고 생각한다.
  • 특히 DPT에 관해 모르거나 관리를 하지 않아 고장이 생긴다면 밸브 앞에서 24시간동안 당직을 서야 할 것이다.
  • PSC수검 시 LOW LEVEL ALARM으로 연료유가 차단되는지 볼 수 있기 때문에 정말 중요하다.
  • 압력 = 밀도*높이 로 나타낼수 있다.
  • DPT는 차압을 검출한 후 식을 통해 물의 높이를 계산하는 역할을 한다.

DIAGRAM


구성

1. DPT-차압전송기

: 차압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ECR, LOCAL PANNEL, I/P컨버터에 보낸다.

2. I/P컨버터

: DPT에서 받은 전기 신호를 공압으로 바꾸어 공압 밸브에 전달한다.

3. Feed Water Control Valve -pneumatic 

: I/P컨버터에서 온 Control Air의 압력에 따라 밸브 개도가 조정되어 유량제어를 한다.
 밸브가 닫히면 Cascade tank로 리턴된다.
 Control Air가 들어가면 스프링의 장력을 이겨 DISC가 위로 올라가 밸브개도가 공압에 따라 세심하게 조절된다

4. Condensate Reservoir - 정수두실

: 증기를 응축시켜 DPT내에서 차압을 구할때 오차가 없도록 도와준다. (물과 물의 차압)

5. Boiler Feed Water Pump

: 보일러의 급수제어는 밸브개도로 조절하기 때문에 펌프는 항상 기동한다.

6.Equalizing Valve - Bypass

:DPT 정비시 먼저 열어야하는 밸브로 압력의 불균형으로 인한 DPT손상을 막아준다.

작동

.

차압을 통해 보일러수두의 높이를 계산한다.

이때 높이 계산 뿐만 아니라 전기적 신호를 통해 밸브개도를 조절한다.


ㄱ. Low Level - 4mA


ㄴ. Normal Level - 12mA


ㄷ. High Level - 20mA












  • 전기적 신호가 I/P컨버터에서 공압신호로 바뀐다.
  • Normal Level(12mA)이하 일때만 Valve가 Open 된다.
  • 전기신호가 작을수록 Valve개도가 넓어 유량이 커진다.
  • 12mA이상일 때는 Valve가 Close 된다. 
  • 또한 기울기를 통해 밸브개도가속도를 조절 할 수 있다.






정비

  1. Equalizing Valve Crack Open
  2. HP LP Valve Crack Open
  3. Drain Valve Open
-> Blow Down (PMS 6개월)

주의사항

  • 급격한 압력 변화를 막기 위해 Equalizing Valve를 먼저 열어야한다.
  • 공기가 차지 않도록 라인 복귀시 충분히 VENT&DRAIN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