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냉동사이클
2. PIPE LINE
3. OPERATION
4. TROUBLE SHOOTING
REFRIGERATOR UNIT

구성
1. 수액기
: 피스톤 내 수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예방하는 장치
팽창밸브에서 또한 과열도를 두어 수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2. 압축기
: LOW PRESSURE에서 HIGH PRESSURE로 압축시킨다.
3. 유분리기
: 냉매 내 있는 L.O를 흡수한다.
4. 유분리기 리턴밸브
: 플로트 밸브에 의해 일정 L.O가 모이면 크랭크챔버로 RETURN 된다.
5. 응축기 출구밸브
: PUMPING DOWN시 잠근다
개도 조절을 하지 않고 FULL OPEN, FULL CLOSE 한다.
6. 드라이어
: 냉매 내 수분 및 먼지등을 필터링 해준다.
경로 - PH선도와 같이 확인!
- 냉동고에서 수액기를 거쳐 압축기입구로 들어온다. <LP>
- 압축기에서 냉매가 압축되어 유분리기를 거쳐 응축기로 들어간다. <HP>
- 응축기를 지나 드라이어를 거쳐서 냉동고 쪽으로 향한다.
- 유분리기 리턴밸브를 잠그고 운전시 유분리기 내 L.O가 계속 쌓여 냉매와 같이 이동한다.
- 유분리기 리턴밸브를 열고 L.O보충시 크랭크 챔버내 L.O가 유분리기로 들어간다.
- 냉매가 순환되지 않을시 드라이어도 꼭 확인한다.
냉동고

1. 솔레노이드 밸브
: 냉동고의 온도에 따라 ON/OFF제어가 되어 냉매를 차단 OR 통과시킴
2. 팽창 밸브
: 압력을 내려(교축) 포화온도를 내린다.
3. 증발기 & 팬
: 냉매가 잠열을 흡수하며 냉동고를 차갑게 한다.
4. 감온통
: 증발기 출구에서 온도를 팽창밸브로 전달하여 개도를 조절시킨다.
5. 배압 조절 밸브
: 육고, 어고 외 야채고에 설치되며 배압을 조절시켜 냉동기가 자주 운전되지 않도록 한다.
6. 전기 히터
: 제상을 위해 사용한다.
경로 - PH선도와 같이 확인!
- 드라이어에서 나온 냉매가 솔레노이드 밸브의 ON/OFF에 따라 통과/정지된다.
- 만약 설정온도보다 현재 냉동고 온도가 높은 경우 솔레노이브 밸브가 열린다.
- 감온통에 의해 팽찰밸브의 개도가 조절되고 교축 되어 증발기로 들어간다.
-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한 냉매는 배압조절 밸브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돌아간다.
- 팽창밸브 스프링 조절은 초기세팅시에만 한다!
- 제상은 한달마다 살수로도 시행한다.

L.O LINE

구성
1. 크랭크챔버
: 압축기 내 크랭크 챔버에 기름이 모여있고 흡입 파이프가 잠겨있다.
2. FILTER
: L.O LINE으로 흡입 전 필터링을 한다.
3. L.O PUMP
: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어 자동으로 기동 된다.
4. SHAFT & BEARING
: L.O는 샤프트를 통과하여 베어링에 비산 시켜 윤활한다.
5. 무부하 장치
: 압축기 초기 기동시 큰 부하 & 베어링에 L.O가 비산되지 않아 처음에 는 무부하로 운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