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SSEL
VESSEL REFRIGERANT PH CHART / 선박 냉매 PH선도 R404a R134a R22
minmolmin
2019. 1. 27. 22:37
1. 냉동사이클
2. PIPE LINE
3. OPERATION
4. TROUBLE SHOOTING
개요
- 냉동기의 원리 및 트러블슈팅을 위해서는 PH선도 및 몰리에르 선도 이해가 선행 되어야 한다.
- 선박에는 HCF 계열의 R134a R404a , HCFC 계열의 R22 등이 쓰인다.
- R22의 경우에는 오존층 파괴 물질 기록부를 작성하여야 한다.
몰리에르 선도
구역
- 과냉각 구역 : 액체 상태
- 과열구역 : 기체 상태
- 습증기구역 : 액체 + 기체
선
- 등온선 : 그래프 내 온도가 같은 점을 이은 선
- 포화액선 : 액체로 상 변화가 일어나는 선
- 포화증기선 : 기체로 상 변화가 일어나는 선
냉동사이클
냉동기를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냉동사이클을 그린다.
그 이후에는 사이클을 따라가며 이해한다.
압축
그래프를 보면 오른쪽위( 고온&고압 기체 ) 의 상태로 변한다.
압축시 압력이 상승하여 포화온도가 상승한다.
포화온도가 상승하면 기체에서 액체로 상 변화가 쉬워진다.
응축
- 응축시 압력은 일정하고 잠열을 뺏겨 온도 또한 일정하다 (과냉 전까지)
여기서 뺏긴 잠열은 증발기에서 다시 되찾으며 열을 흡수한다.
팽창
교축작용을 통해 압력을 낮춘다.
기체상태가 된다.
압력이 낮아져 포화온도 또한 낮아진다.
증발기 출구온도를 기준으로 과열도를 세팅한다.
증발
낮아진 포화온도 만큼의 열을 흡수하여 액체가 되기 전까지 잠열을 흡수한다.
과열도 만큼 더 열을 받아 확실하게 포화증기선 밖 과열구역으로 내보낸다.
압축기 내 액체가 들어가게되면 피스톤 및 콘로드의 파손이 일어나기 때문에 과열도를 둔다.
냉매 PH선도
압력
- 압축기의 (HP, LP) PRESSURE GAUGE 에 + 1Bar(대기압)
온도
- 팽창밸브 IN 온도
- 압축기 IN 온도
- 증발관 냉매 온도 : 냉동고 온도 - 약 7도
그리기
예)
- 냉매 R134a
- HP 17+1 = 18bar
- LP 1.8+1 = 2.8bar
- 증발관 냉매 온도 : 냉동고 온도 5도 - 7도 = -2도
- 압축기 IN 온도 : 8도
- 먼저 압축기의 LP(2.8bar)와 압축기 IN온도(8도)의 교점을 찾는다.
- 그후 파란색(등엔트로피)선과 평행하고 HP(18bar)와 만나는 지점을 찾는다. (압축라인완성)
- 압축기의 LP(2.8bar)와 증발관 냉매온도(-2도)의 교점을 찾는다.
- 압축기시작점과 연결한다. (증발라인완성)
- 증발 시작점의 수직선과 압축끝점의 수평선의 교점을 찾아 연결한다. (팽창&응축라인완성!)